이자와 부동산, 환율과 주식
시계를 10년 전으로 돌려보자. 2000년 IT버블 때문에 유지했던 초저금리. 금리가 너무 싸니까, 능력이 안 되는 사람들도 집을 사기 시작했다. 2006년까지 부동산 가격이 치솟았다. 인플레이션 조짐이 보이자 금리를 올리기 시작한 것이 2004년. 1% 이었던 금리가 2006년에는 5.25%까지 올랐다. 그리고 2007년, 마침내 부동산 '버블'이 터졌다.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, 리만 브라더스와 AIG 보험의 파산, 개인 신용점수 하락과 자동차 구매의 감소로 GM도 2009년 6월 파산 신청. 미국 주식 시장의 폭락은 전 세계로 파급되었고, 투자자들의 자살과 직장인들의 해고가 속출했다. 주택 담보대출금(모기지)을 갚지 못하는 깡통주택이 늘어나면서, 금융기관들은 자금부족에 허덕였다. 결국, 다급해진 그들은 한국에 투자했던 주식을 팔아서 달러를 다시 미국으로 갖고 오기 시작했고, 이 과정에서 환율이 2009년 3월 초...
Continue reading